실로 정말 오랜만에 여유 있는 삶은 만끽하고 있다. 시간이 나자마자 제일 처음 한 일은 히치콕의 영화를 보는 일이었다. 작년 한 해 동안 본 영화는 총 10편이 될까? 책도 공부중인 책을 제외하면 하반기에 읽은 책은 단 한권도 없다. 다만 새 음반은 20개 정도 들은 것 같은데, 그걸 정리할 시간은 물론 없었다. 지난주와 이번주 들어 갑자기 영화 몇 편을 보았는데, 타르코프스키의 솔라리스, 히치콕의 무대공포증과 이창, 시간을 달리는 소녀를 봤고, 발퀴리와,, 그리고 벼르고 별렀던 the fall을 보았다. 우리는 허구로부터 무엇을 원하는가? (""허구""와 ""fiction"""에 대해 너무 오랫동안 지지고 볶아서 말만 꺼내도 속이 뒤집힐 것 같지만) 우리는 도대체 영화로부터 무엇을 원하는 것일까? 우리..
우리는 모든 것들을 관념화 한다. 커다란 형식을 만들고, 개념을 만들고, 그것들의 형이상학적 은유를 덧붙여 모호하게 만들어 버린다. 모호한 은유와 개념들은 누구에게든 다가가서 따듯하고 말랑말랑하게 막연하고 낭만적인 의미들을 부여한다. 그러나 알고 있는가. 진정 우리가 겪었던 절망들이 어떤 것이었던가를. 내가 겪었던 절망들은 그토록 형이상학적인 것들이 아니었다. 절망 안에서도 희망을 찾아, 꿇었던 무릎을 일으켜 세우는 힘을, 누군가가 내미는 손을, 모두 내 안으로 끌어 안을 수 있던 것들이 아니었다. 그것은 안녕과 안위에 대한 염원과 안심 속으로 스멸스멸 파고들었다가 그것들이 절망이 되는 그 순간은, 그 순간의 절망은 총체성과 완전함으로 굳건하게 다져져 있다. 내가 절망을 느끼는 그 순간은 그것은 너무나 ..
1. 생활 계획표 하루 3시간의 글쓰기 하루 6시간의 공부 하루 한 시간의 어학 나머지는 책보고, 만화보고, 영화보고, 피아노치고, 발레를 하거나, 자전거를 타는 등의 랜덤 생활. 2주간의 일상, 2일의 휴식 10개월간의 일상 1달간의 반전 (하루 6시간의 놀기, 하루 3시간의 공부와 글쓰기) : 이 계획표의 난점 1) 글쓰는 일로 돈이 제대로 들어오지 않으면 굶어 죽게된다. 2) 피아노의 실력은 계속해서 퇴보할 예정이다. 다른 악기는 연주법을 아예 잊어버릴 것이 예상된다. 3) 과연 어학이 늘지 의심스럽다. 2. 작가는 직업이 글쓰기이다. 조정래는 아침부터 밤까지 14시간을 글을 쓰고, 김훈은 아침이 되면 자신의 서재로 출근을 한다. 김연수는 전업작가가 되기 전 직장에 다녀와서도 하루도 빠지지 않고 피..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젝트
- 소설
- Imperialism
- 철학
- 과학
- 리뷰
- 인문
- Dance
- 새로운 생명체가 나에게 환기시키는 것
- 제주
- 건축
- koreanhistory
- 스크랩
- history
- 근대
- colonialism
- 집필 자료
- 여행
- 화가시리즈
- massacre
- 근대사
- 역사
- 일제 강점기
- War
- postcolonialism
- 영화
- 판매완료
- 사진
- The Red Shoes
- 예술/문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